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즘은 젊은 사람들도 고혈압이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고혈압이라고하면 40대 중반 이후부터 걱정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나이가 들면 혈관이 노후되고 신진 대사 능력도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혈압이 높아질 수도 있는데요, 그렇다면 고혈압 기준 어떻게 되는지, 미국과 한국 고혈압 기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ai image

 

현재 고혈압의 기준은 미국심장협회(AHA)와 대한고혈압학회(KSH) 등의 권고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가 됩니다.

 

1. 미국심장협회(AHA) 기준 (2017년 개정)

 

정상 혈압 : 120/80 mmHg 미만
고혈압 전단계(주의 단계) : 120~129 / 80 mmHg 미만


1기 고혈압 : 130~139 / 80~89 mmHg
2기 고혈압 : 140 이상 / 90 이상
위기 단계(고혈압 응급) : 180 이상 / 120 이상

 

ai image

 

2. 대한고혈압학회(KSH) 기준 (2022년 개정)

 

정상 혈압 : 120/80 mmHg 미만
고혈압 전단계(주의 필요) : 120~139 / 80~89 mmHg

 

고혈압: 140 이상 / 90 이상
고혈압 위기: 180 이상 / 120 이상

 

미국 기준은 130/80mmHg부터 고혈압으로 간주하지만, 한국 및 유럽 기준은 140/90mmHg부터 고혈압으로 본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이 유지된다면 식이 조절, 운동, 약물 치료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