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엇이든지 그렇죠. 과해도 안 좋고 모자라도 안 좋아요. 혈압이 딱 그런 것 같아요. 이번 글에서는 저혈압 기준이 어떻게 되는 것인지, 저혈압의 장점이 있는지, 또한 저혈압의 단점이 있는지 한번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i image

 

저혈압(저혈압증)의 일반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 90 mmHg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 < 60 mmHg

 

정확한 기준은 개인의 건강 상태나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위 수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저혈압의 장점

·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고혈압보다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 등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음.)

· 혈관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음 (혈관이 덜 손상되고, 전반적으로 노화가 느릴 수 있음.)

· 신장(콩팥)에 부담이 적음 (고혈압보다 신장 기능 저하 위험이 낮음.)

 

ai image

 

저혈압의 단점

· 어지럼증, 실신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면 자세를 바꿀 때 순간적인 현기증이나 실신이 발생할 수 있음.)
· 만성 피로, 무기력 (전신 혈류가 부족하여 에너지 부족이나 피곤함이 자주 느껴질 수 있음.)
· 집중력 저하 (산소 공급이 부족하면 집중력이나 사고력이 떨어질 수 있음.)
· 식욕 저하 및 소화불량 (위장으로 가는 혈류도 줄어들 수 있어 소화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저혈압이라고해서 무조건 병원에 가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만일 이런 경우가 지속적으로 일어날 때는 병원에 한번 가봐야해요.

 

· 어지럼증, 두근거림, 실신이 잦은 경우
· 운동 중 쉽게 지치는 경우
·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

 

고혈압만큼이나 저혈압도 조심해야할 부분입니다. 자신의 혈압을 잘 체크하셔서 적정 혈압을 유지할수 있도록 늘 신경을 쓰고 생활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